일반사회통계(302호) -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02호) -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2025-09-09 14:33 22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02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5573_2323.png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

• 최근 교육부는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문해능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제1차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우리 국민의 디지털 능력 수준을 살펴본다.
•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이상(53%)은 디지털 기기나 기술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수준4’에 속했다. 반면 성인 4명 중 1명(26%, 수준1+수준2)은 디지털 기기를 다루거나 활용하는 데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Note) 디지털 문해능력은 디지털 기본활용, 정보활용, 의사소통, 안전, 문제해결 등 5개 영역을 측정하여 4개 수준으로 나뉘며, 수준1은 디지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활용이 어려운 가장 낮은 단계이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5888_1321.png


청년층과 노년층, 디지털 문해력의 간극 커!
• 연령별 디지털 문해력 수준을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수준1(디지털 이해/활용 어려움)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반면 18~39세 젊은 층에서는 수준4가 77%로 압도적으로 높아, 청장년층과 노년층 간 뚜렷한 디지털 문해능력 격차를 보여준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5895_5435.png


남성이 여성보다 디지털 문해능력 높은 편!
• 성별에 따른 디지털 문해능력 수준을 조사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준4’는 남성 비중이 더 높고, ‘수준1’은 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여, 성별 간 디지털 문해력 격차가 어느정도 나타나고 있다.
• 이는 디지털 문해능력 수준이 떨어지는 고령층일수록 남성보다 여성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5902_9668.png


가구소득 낮을수록, 디지털 문해력도 취약!
• 가구소득 수준별로도 디지털 문해능력 격차가 드러났는데, 월 300만 원 이하 가구의 경우 수준1(디지털 이해/활용 어려움)이 26%로 300만 원 이상 가구(300~500만 원 미만 5%, 500만 원 이상 1%) 대비 크게 높았다.
• 반면 월 500만 원 이상 가구는 수준4가 69%로 가장 높아, 소득이 높을수록 디지털 활용 능력도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보여준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5910_1738.png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302호) - 성별 임금 격차: OECD국 비교 2025-09-09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01호) - 한일 국민 소득 비교 2025-09-02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