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호-

넘버즈
넘버즈 리포트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242호-<개신교인의 용서에 대한 인식>

2024-06-04 15:36 719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생산자 및 소유자) 역시 밝혀야 합니다.
4)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동영상, 서적 등 모든 자료)

1. 주요용 : [개신교인의 용서에 대한 인식]
- 개신교인 63%, 기도하면 용서하는 마음 생긴다!

개신교는 사랑의 종교, 용서의 종교이다. 사랑과 용서는 갈등과 다툼이 이미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 우리 사회를 들여다보자. 한국은 현재 대다수의 국민이 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지할 만큼 사회 갈등수준이 높은 상태이다. 대체로 이념 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높지만 갈등 영역은 젠더, 세대, 빈부, 지역 등을 막론한다. 이와 같은 사회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데에는 사회 구성원들 간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개신교인은 용서에 대해 어떤 경험과 인식을 하고 있을까? 또한 한국교회는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기독교 연구기관인 기독인문학연구원/이음사회문화연구원이 목회데이터연구소와 함께 최근 ‘갈등과 용서 및 화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번호에서는 개신교인의 사회 갈등 및 용서, 화해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교회가 사회 갈등 해소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데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 보도

    1) 장래인구추계 : 17개 시도편

    2) 한국인의 여가시간


[넘버즈 칼럼]

동성애 '성전환' 그 위험과 허상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257_5298.png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745_4741.png
1. [용서 인식 및 경험]
개신교인 4명 중 3명, ‘성희롱’, ‘사기’, ‘폭력’ 용서 못 해!

• 개신교인은 자신이 사기, 폭력, 갑질 등을 당할 경우 해당 행위에 대해 얼마나 용서할 수 있을까? 몇 가지 상황을 제시하고 용서할 수 없는 비율을 살펴본 결과, ‘성희롱적 발언을 한 사람(여성 응답자 기준)’ 76%, ‘사기를 친 사람’ 75%, ‘물리적 폭력을 행한 사람’ 75%로 세가지 유형이 비슷하게 높았다.
• 전반적으로 신체적 위해, 경제적 손실 등 법적 처벌 영역의 행위일수록 용서 불가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35_0166.png


용서 경험 개신교인, ‘상대방을 진심으로 용서했다’ 63%!
• 성인이 된 이후,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한 경험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개신교인의 대부분(83%)이 용서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 용서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상대를 어떻게 용서했는지를 물었더니 ‘진심으로 용서했다’ 63%, ‘형식적으로 용서하고 넘어감’ 37%로, 3명 중 2명 가까이 진심으로 용서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44_0416.png


개신교인 3명 중 1명, ‘용서가 크리스천다운 삶이어서 용서했다’!
• 이번에는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하게 되는 동기를 물었다. 그 결과, ‘나도 다른 사람에게 의도치 않게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가 58%로 가장 높게 응답했고, 이어 ‘상대방이 진심으로 용서를 구했기 때문에’ 46%, ‘상대방을 용서하고 화해하는 것이 크리스천다운 삶이라 생각해서’ 33% 등의 순이었다.
• 신앙이 용서의 동기로 작용한 ‘상대방을 용서하고 화해하는 것이 크리스천다운 삶이라 생각하기 때문에’의 응답 비율은 신앙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52_6838.png


2. [종교/신앙과 용서 인식]
개신교인, 비개신교인보다 훨씬 더 용서 잘한다고 생각!

•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간 ‘용서’ 행동에 있어 차이가 있을까? ‘개신교이든 비개신교인이든 차이 없다’는 인식이 57%, ‘개신교인이 더 용서를 잘한다’ 39%, ‘비개신교인이 더 용서를 잘한다’ 3%로 ‘차이 없음’을 빼고 비교하면 비개신교인보다는 개신교인이 더 용서를 잘한다는 인식이 훨씬 강했다.
• ‘개신교인이 더 용서를 잘한다’ 응답률은 신앙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65_7223.png


개신교인 63%, 기도하면 용서하는 마음 생긴다!
• 종교와 신앙은 용서와 어떤 상관성이 있거나 혹은 용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종교/신앙과 용서에 대한 문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동의율을 확인했다. ‘개신교인이어도 상황에 따라 용서할 수 없는 일이 있다’에 개신교인 10명 중 8명 가까이(77%)가 동의해 개신교인일지라도 무조건적 용서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타인과 갈등이 생겼을 때 기도를 하면 용서하는 마음이 생길 수 있다’는 63%가 ‘그렇다’고 응답해 ‘기도가 용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79_5312.png


가족 죽인 가해자, 나라면 용서할 수 있을 것 12%!
• ‘용서 프로젝트’란 자기 가족을 죽인 가해자를 신앙적인 이유로 용서하겠다는 피해자 가족의 모임을 말한다. ‘용서 프로젝트의 취지’의 이해와 ‘자신의 경우라면’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의견을 물었다.
• 먼저 ‘용서 프로젝트의 취지’에 대해서는 ‘취지를 이해한다’ 즉, ‘기독교인이라면 신앙적으로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44%로 ‘취지를 이해할 수 없다’(36%)보다 많았다. 그러나 ‘만약 나라면’으로 질문을 바꾸면 ‘용서하지 못할 것 같다’(69%)가 ‘용서할 수 있을 것’(12%)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내 가족을 죽인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을 것이란 응답이 12%나 돼 주목된다. ‘나라면 용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은 신앙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89_4013.png


3. [사회 갈등에 대한 인식]
개신교인 대다수, 우리 사회 갈등 ‘심각하다’고 인식!

•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갈등이 얼마나 심각하고 생각하는지 개신교인을 대상으로 물었다. 그 결과, 개신교인 대다수(89%)는 ‘심각하다’고 인식했고, 그중 ‘매우 심각하다’가 20%로 5명 중 1명은 사회 갈등에 대한 위기의식이 매우 높았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897_1269.png


개신교인, 일반국민보다 세대갈등 인식 낮아!
• 개신교인이 바라보는 우리 사회 집단별 갈등 정도는 어떠할까? 사회 각 집단 간 갈등의 심각성 정도를 평가한 결과 ‘진보와 보수 갈등’이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빈부 갈등’(79%), ‘지역 간 갈등’(72%) 순이었다.
•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과 남성 간 갈등’은 2030 젊은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 국민 대상의 유사한 질문과 비교해 보면 ‘진보와 보수 갈등’이 동일하게 가장 높았고, 전반적으로 개신교인이 일반 국민에 비해 갈등의 심각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고 있었는데, 특히 ‘젊은이와 고령자 간 갈등’과 ‘여성과 남성 간 갈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10%p 이상 낮게 나타난 점이 주목할 만하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907_4116.png


개신교인 3명 중 2명, ‘우리 사회 갈등 앞으로 더 커질 것’!
• 사회 갈등 수준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10년 전 대비 우리 사회의 갈등 정도’와 ‘향후 사회 갈등 변화 예상’에 관해 물었다. 개신교인 10명 중 7명(70%)은 ‘현재가 10년 전보다 심하다’고 응답해, 사회 갈등이 과거 대비 현재 더 심화했다고 느끼고 있었고, 앞으로 사회 갈등에 대한 전망 역시 3명 중 2명(67%)이 ‘커질 것’이라 응답해 비관적이고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특히 40대의 경우 사회 갈등이 ‘커질 것’이라 예상한 비율이 4명 중 3명(76%)에 달했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921_2894.png


4. [한국교회와 사회 갈등]
‘한국교회,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47%!

• 한국교회가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개신교인들에게 물었다. 그 결과, 개신교인의 47%가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해, ‘노력하고 있지 않다’ 43%보다는 약간 더 높았으나 절반에는 못 미쳤다. 한국교회가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개신교인이 상당수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932_1135.png


개신교인, 사회 갈등을 위한 ‘종교단체’의 노력 높이 평가!
• 우리 사회 갈등 완화 및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주체를 물어 일반 국민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집단별 순위를 매겼다.
• 개신교인의 경우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주체’로는 오차범위 이내에서 ‘종교단체’, ‘시민단체’, ‘개인’이 가장 높았다. 반면 ‘일반 국민’은 ‘교육계’가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해 가장 노력한다고 인식했고, 이어 ‘기업’, ‘정부’ 등의 순이었다. ‘종교 단체’는 4위를 차지해 개신교인들의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Note) 일반 국민의 경우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 정도를 절대평가(5점척도)로 질문하였으며, 상대평가로 물은 개신교인 조사와 질문방식이 다름에 유의할 것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949_1665.png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사회문화 조성 노력’!
• 한국교회는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까?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사회 문화 만들기 위한 노력’이 31%로 가장 많았고, 이어 ‘편 가르는 사회 문화 지양을 위한 노력’ 26%, ‘가치관(신념)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 19% 등의 순이었다.
•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사회문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1순위로 꼽은 것은 한국교회가 ‘편을 가르고 배타적인 이미지’를 먼저 털어내고, 교회 내부에서부터 이념, 세대, 남녀 등의 통합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356f6753d22efa4272e80ef178db099a_1717482957_5611.png



 

, , , , ,

이전글 243호-<한국인의 우울∙자살∙죽음 인식> 2024-06-11 다음글 241호-<숏폼의 역습> 2024-05-28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