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직장 찾아서…부·울·경 대졸자 10명 중 4명이 타지로 떠났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지난해 12월 대전관내 한 대학교에서 대전시교육청 주최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전충청지역 대학입학정보박람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2월 대전관내 한 대학교에서 대전시교육청 주최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전충청지역 대학입학정보박람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청년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가 대학 진학보다 취업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방대 소멸을 막으려면 대학만 지원할 것이 아니라 대학과 지역 일자리를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이탈 요인, 진학보단 취업…“구직 단계부터 지원해야”

2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2018~2020년 고졸·대졸자의 진출 대학과 직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비수도권 고교생 대다수는 소속 권역 대학으로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할 때에는 절반 이상이 수도권 등 타지로 이탈했다.

예를 들어, 부산·울산·경남권 고교 졸업생이 같은 지역 대학에 입학하는 비율은 2018년 74.3%, 2019년 73.8%, 2020년 73.2%였다. 하지만 이 지역 대졸자가 같은 지역 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은 2018년 58.5%, 2019년 57.7%, 2020년 59.5%에 그쳤다. 10명 중 4명은 수도권 등 타지로 일자리를 찾아 떠난다는 의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취업을 위한 지역 이탈 현상은 수도권과 가까운 곳일수록 두드러졌다. 2020년 기준으로 강원도는 고교생 53.2%가 도내 대학에 진학했다. 하지만 같은 시기 강원도 대학 졸업생 중 23.5%만이 같은 지역 기업에 취업했다. 대전·세종·충청권 대학 졸업생 역시 지역 기업에 취업한 비율이 2020년 34.7%에 그쳤다.

대전·세종·충청과 강원권 대학을 졸업한 뒤 타지에 취업하는 비율이 60%를 웃돈 반면 수도권 대졸자는 타지에 취업하는 비율이 15.5%(2020년)에 그쳤다.

연구진은 대학 졸업과 취업 시점에 지역 사회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지자체가 대학이나 기업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 졸업생이 권역 내에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권역 내 직장에 취업하면 일정 기간 추가 지원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라이즈 사업으로 지자체-산업체-대학 연계 

윤석열 정부도 지역 인재를 지역에 정주시키기 위한 지방대 정책을 내놓고 있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ISE)’ 사업이 대표적이다. 라이즈 사업은 대학 관리·감독 권한을 지자체로 대폭 이양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교육부는 2025년 전면 도입에 앞서 7개 지역을 시범 지역으로 정했다.

박형준 시장이 21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라이즈 시범사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박형준 시장이 21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라이즈 시범사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시범 지역으로 선정된 부산시는 '지산학(지자체·산업체·대학)' 협력을 위한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대학과 산업체 연계에 나서고 있다. 부산의 도금 기업 '동아플레이팅'은 지산학 연계로 체질 개선을 이룬 사례다. 이오선 동아플레이팅 대표는 “동의대, 동서대, 신라대 등 인근 학교들과의 지산학 연계로 실습·견학 온 학생을 채용했고, 회사 직원 75%가 2030세대로 바뀌었다”며 “지역 기업도 나쁘지 않다고 인식을 바꾸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지산학 협력에 적극적인 기업 55곳을 지산학 브랜치로 지정했다.

일각에서는 지역 이탈을 막기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대학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수도권 바깥으로 나가면 대학을 살릴만한 산업체도, 역량을 갖춘 지자체도 드물다. 많은 돈을 쏟아붓는 라이즈 사업 결과에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KEDI 연구진도 “대학은 지역 취업을 강조하지만 지역의 취업처들이 학생의 눈높이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수 인재의 지역 정주로 이어지기 어렵단 지적도 있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 기업 중 제조업체는 약 2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관광, 요식업, 물류 등 영세 업체다. 고급 인재를 양성해도 지역 바깥으로 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전문가들은 지역 산업 생태계 재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에 대해 “인공지능과 바이오, 양자역학 기술 등의 연구·개발 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지역 내 복합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