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못다쓴 연차 3.6일' 국내 소진땐 10兆 효과…갤럭시보다 효자

임성현 기자
양세호 기자
입력 : 
2023-03-10 17:41:10
수정 : 
2023-03-10 23:35:15

글자크기 설정

◆ 경상수지 최악적자 ◆
사진설명
붐비는 공항…경상수지 최악적자 이유 있었네 주말을 앞둔 10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해외로 나가려는 공항 이용객들이 탑승 수속을 밟고 있다. 1월 여행수지 적자폭은 해외여행 급증으로 전달보다 3배나 많은 14억9000만달러로 불어났다. <한주형 기자>
게임회사에서 기획자로 일하는 A씨(32)는 오는 6월 2주간 휴가를 내고 제주도 여행을 떠날 예정이다. A씨가 재직 중인 회사는 탄력근무제를 활용해 매달 일정 시간만 근무하면 나머지 시간은 연차에 붙여 장기휴가로 사용할 수 있다. A씨는 "1년에 한두 번씩 길게 국내외에서 휴가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제조업종에서 상품개발자로 재직 중인 B씨(32)에게 장기휴가는 '그림의 떡'이다. B씨는 "작년에도 연차 중 절반밖에 못 썼다"고 한숨지었다. 올해도 B씨는 휴가 대신 수당을 받을 처지다.

한국 근로자는 연평균 1915시간 일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5위에 오를 만큼 세계적으로 '과로하는 나라'다. 오랜 시간 일하는 반면 휴가는 적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근로자의 평균 연차는 15.2일, 이 중 실제로 소진하는 연차는 11.6일이다. 연차 소진율은 76.1%에 그치고 있다. 정규직 직장인은 1년 이상 일하면 연 15일 유급휴가가 생긴다. 2년마다 1일씩 휴가가 늘어나 장기 근속자는 최장 25일이 된다. 하지만 이마저도 온전히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쪼개 쓰거나 남겨서 연차보상비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휴가는 근로자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측면은 물론이고 경제 전반으로도 효과가 크다. 가뜩이나 수출 한파에 소비 부진까지 덮친 한국은 여가활동을 확산시킴으로써 소비 활성화를 촉진하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만성 적자인 여행수지를 개선하는 데도 휴가효과가 크다. 뒤집어 말하면 지금 한국 사회는 휴가를 통한 국내 소비 진작과 여행수지 개선이라는 효과를 고스란히 날리고 있는 셈이다.

10일 매일경제와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국내 임금 근로자가 100% 연차를 소진하면 경제 전체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가 연간 10조4000억원에 이른다. 휴가를 통해 국내 여행, 음식, 문화, 오락, 스포츠 등 여가활동 전반에서 일어나는 소비효과다. 다만 국내 경제 파급효과만을 추정하기 위해 해외여행 기간 현지 지출이 아닌 국내에서 발생하는 항공비, 면세품 구입비를 포함했다.

사진설명
특히 여가활동 소비 1원당 생산유발액은 1.76원에 달한다. 국내 제조업 핵심 상품인 휴대전화(1.48원), TV(1.57원), 컴퓨터(1.71원)보다 효과가 크다. 작년 한 해 총 3만1929대 판매된 '국민차' 쏘나타의 생산유발액이 2조1269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100% 연차 소진의 경제효과가 4.9배 큰 것이다. 지난해 240만개 팔린 삼성전자의 인기 휴대폰 갤럭시 Z4 폴드의 생산유발액(6조3900억원)보다도 1.6배 많다. 여행과 레저 등이 전후방 산업과 연계효과가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부가가치 파급효과도 크다. 100% 연차 소진 시 부가가치유발액은 연간 5조원에 달한다. 쏘나타(5958억원), 갤럭시 Z4 폴드(1조9429억원)의 부가가치를 압도한다. 휴가 소진의 1원당 부가가치유발액은 0.85원이다. 휴대전화(0.45원), TV(0.46원), 컴퓨터(0.66원), 승용차(0.72원) 등 국내 주력 생산품을 통틀어도 월등한 비교우위가 있다.

이에 따라 휴가 촉진을 통한 소비 확대는 부작용이 적고 경제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효율적인 경기부양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 근로자의 평균 연차인 15.2일의 생산유발효과는 무려 44조1000억원에 달한다. 휴가가 국내 여가활동 확산으로 이어지면 가뜩이나 수출과 함께 소비도 급격히 위축되는 상황에서 내수 진작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조사팀장은 "휴가를 통한 소비는 제조업 못지않은 전후방 산업 유발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무엇보다 '골칫거리'인 여행수지 적자를 해소하는 데도 한몫한다. 한국은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만성적인 여행수지 적자를 겪고 있다. 2000년 이후 22년 연속 적자 행진이다. 더욱이 코로나19로 작년 한 해 여행수지 적자만 79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부진으로 상품수지가 무너지는 와중에 여행수지를 포함한 서비스수지가 버팀목이 돼야 하지만 오히려 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20년간 국제수지를 통해 개별수지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행수지가 1억달러 늘어날 때 경상수지는 1억8800만달러 불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 등 상품수지가 0.94억달러, 해외배당 등 본원소득수지가 1억1000만달러 증가하는 것에 비하면 여행수지 영향력이 훨씬 큰 것이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휴가를 통한 부수적 경제효과가 크다"며 "직접적인 소비 진작효과와 함께 간접적으로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성현 기자 / 양세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