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없는 맞벌이 신혼부부 계속 늘어

이창준 기자

작년 신혼부부 수 ‘급감’ 110만쌍

혼인 자체 감소에 코로나 영향도

외벌이 유자녀 비중 10.9%P 높아

아이 없는 맞벌이 신혼부부 계속 늘어

지난해 국내 신혼부부 수가 집계 이후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혼인이 급감한 탓이다. 맞벌이 신혼부부 비중은 꾸준히 늘어난 반면 아이를 낳는 신혼부부 비중은 계속 줄었다.

통계청이 12일 내놓은 2021년 신혼부부 통계를 보면 지난해 신혼부부 수는 110만1000쌍으로 전년 대비 7.0%(8만2000쌍) 감소했다. 지난해 신혼부부 수는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적었는데 감소 폭 역시 가장 컸다. 통계청은 혼인신고 이후 만 5년이 지나지 않은 부부를 신혼부부로 규정하고 있다.

신혼부부 감소율은 2016년 2.4%에서 매년 폭이 커지고 있다. 특히 1년차 신혼부부 수의 감소율은 지난해 10.4%로 전체 감소율에 큰 영향을 미쳤다. 향후 신혼부부 감소율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통계청은 혼인 감소세 속에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신혼부부 수가 평소보다 더 크게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적령기인 30대 인구가 줄고, 비혼과 만혼 추세 등 혼인 자체가 감소하는 흐름도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초혼 신혼부부 중 아이를 낳은 부부 비중은 54.2%로 1년 새 1.3%포인트 하락했다. 2016년 63.7%에서 5년 새 10%포인트 가까이 줄어들었다.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도 지난해 0.66명으로 꾸준한 하락세를 이어갔다.

초혼 신혼부부의 맞벌이 비중은 전년 대비 2.9%포인트 상승한 54.9%였다. 이 비중은 2018년(47.5%) 외벌이 부부를 처음 역전했는데, 이후 격차를 계속 벌려 지난해에는 외벌이 부부(40.2%)보다 14%포인트 이상 높았다. 이 영향으로 지난해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 소득은 6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역대 최대 폭 증가다.

맞벌이 신혼부부 증가는 이들 부부가 자녀를 갖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중 유자녀 부부 비중을 분석해보면 맞벌이 부부의 유자녀 비중(49.6%)이 외벌이 부부(60.5%)보다 10.9%포인트 낮았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49.1%)은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62.1%)보다 13.0%포인트 낮았다. 육아제도가 많이 정비됐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일과 육아가 양립할 수 없는 한국사회의 상황을 보여준다.

‘내집 마련’ 여부에 따라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계획이 달라지는 양상도 보였다.

지난해 주택 미소유 부부(50.1%)의 유자녀 비중은 주택 소유 부부(59.9%)보다 9.8%포인트 낮았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 비중은 42.0%로 전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을 가진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7235만원)은 무주택 부부(5797만원)의 1.2배 수준이었다.

신혼부부 중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의 비중은 89.1%로 1년 새 1.6%포인트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1억5300만원으로 같은 기간 15.4% 올랐다.


Today`s HOT
조지아, 외국대리인법 반대 시위 로드쇼 하는 모디 총리 시장에서 원단 파는 베트남 상인들 순국한 경찰 추모하는 촛불 집회
멕시코-미국 국경에서 관측된 오로라 개아련.. 웨스트민스터 도그쇼
이스라엘 건국 76주년 기념행사 세계 최대 진흙 벽돌 건물 보수 작업
브라질 홍수로 떠다니는 가스 실린더 우크라이나 공습에 일부 붕괴된 아파트 폴란드 대형 쇼핑몰 화재 러시아법 반대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