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량 중국>미국>인도>러시아

입력
수정2022.01.11. 오후 6:23
기사원문
최우리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50번째 지구의 날]

중국, 배출량 가장 많지만
신재생 에너지 적극 활용
유럽도 그린딜 계획 세우고
2050년 ‘탄소 배출 제로’ 선언


현재 전세계 온실가스는 배출량 상위 국가들이 주로 만들어내고 있다. 이들 주요국의 동향에 눈길을 돌리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환경부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국제에너지기구(IEA)·세계자원연구소(WRI)의 통계를 종합해 추정한 2016년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1위 국가는 중국(122억500만톤)이다. 뒤를 이어 미국 64억9200만톤, 인도 26억8700만톤, 러시아 20억9700만톤, 일본 13억600만톤, 브라질 9억5600만톤, 독일 9억1100만톤, 인도네시아 8억2200만톤, 이란 7억4200만톤, 캐나다 7억800만톤을 배출했다. 한국은 이들 나라에 이은 11위(6억9300만톤)였다. 2016년 전세계가 배출한 온실가스 총량이 약 528억톤이라고 추정한 유엔환경계획(UNEP)의 통계를 기준으로 하면, 전세계 온실가스의 4분의 1을 중국이, 8분의 1을 미국이 배출하고 있다. 다만 개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파리협정에 따라 2024년부터 집계되기 때문에 현재 배출량은 선진국 위주로 추정한 수치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지만, 태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중국의 태양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은 세계 시장의 45%를 차지한다. 다만 석탄 소비 비중이 2017년 60.4%로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다. 배출량 2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해놓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자는 약속을 담은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했다.



세계는 유럽의 도전을 주목한다. 지난해 11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녹색경제 구조로 전환하는 ‘유럽 그린딜’을 발표했다. 올해 1월에는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폴란드 등 일부 동유럽 국가를 설득하기 위해 1000억유로 규모의 지원 방식을 구체화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연구팀 이상준 팀장은 “유럽과 달리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한국 산업구조에 맞는 감축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유익하고 소중한 제보를 기다려요!

제보
구독자 0
응원수 0

기후 환경과 경제산업 뉴스를 씁니다. 책 <지구를 쓰다가>, <달콤한 나의 도시양봉>을 썼습니다. ecowoori@hani.co.k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