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쪽방 등서 사는 중장년층, 10명 중 6명은 고독사 위험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서울시내 쪽방촌·고시원 등에서 홀로 사는 중장년층의 상당수가 ‘고독사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사란 아무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20일 “지난해 실시한 ‘주거취약지역 중장년 이상 1인 가구 실태조사’ 결과 쪽방이나 고시원·여관 등에 혼자 사는 50대 이상 6만677명 중 3만6265명(59.8%)이 고독사 위험군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시내 주거취약지역에 사는 중장년 이상 1인 가구원 총 14만4398명 중 설문에 응한 6만677명(42%)에 대한 조사 결과다. 미응답자 가운데는 이미 숨진 사례도 521명이나 됐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고독사 고위험군은 3.1% 정도로 나타났으며, 중위험군은 13.9%, 저위험군 42.8% 수준이었다. 고독사 위험군은 체크리스트를 통해 고·중·저로 정도가 나뉜다. ‘최근 10년간 실패나 상실 경험이 있는지’부터 ‘최근 1주일간 기억이 안 날 정도로 혼자 술을 마신 횟수’ ‘최근 1주일간 하루 평균 외출횟수’ 등 10개 항목을 파악해 점수화한다. 70점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며, 중위험군 40~60점, 저위험군 10~30점이다.

전문가들은 고독사가 무연고자 사망과는 달리 가족이 있는 사람에게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고 조언한다. 이번 조사에서도 ‘사회활동의 주요 교류대상’을 묻는 질문에 ‘가족’을 꼽은 중장년층은 7000명 가까이 됐다.

서울시는 응답자 상당수가 지병, 장애 등 건강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고위험군에겐 전력량과 방안 조도 감지기능을 갖춘 ‘스마트플러그’를 지원한다. 전기를 쓰지 않거나 조도에 변화가 없으면 ‘위기 신호’로 판단해 미리 지정해둔 복지담당자에게 연락을 취하는 시스템이다. 또 휴대전화 사용량을 파악해 위기 신호를 보내는 ‘서울살피미’ 애플리케이션(앱)도 확대 보급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독사 위험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응답자 개개인의 생활환경·경제능력 등을 파악한 뒤 기초생활보장제도나 돌봄 서비스 등과 연결 조치했다”며 “지난 실태조사 때 조사에 응하지 않는 중장년 1인 가구를 지속적으로 접촉해서 고독사 위험을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