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View & Review] 취업자 수 99.9% 회복? 머릿수만 따진 ‘반쪽짜리 진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통계청은 지난달 취업자 수(계절조정)가 2747만2000명이라고 지난 10일 발표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외한 통계 수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에 취업자 수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99.9% 회복했다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말했다. 지난해 2월의 취업자 수는 2752만2200명이었다.

하지만 통계를 자세히 뜯어보면 사정은 달라진다. 이른바 ‘질 좋은 일자리’는 줄고 ‘질 낮은 일자리’는 늘었기 때문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14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세부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달과 지난해 2월의) 전체 취업자 수로만 비교해 ‘고용이 회복됐다’고 말하기엔 이르다”고 말했다.

10월 기준 역대 최대로 늘어난 15시간 미만 취업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0월 기준 역대 최대로 늘어난 15시간 미만 취업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련기사

일주일에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초단시간 취업자 수는 지난달 157만1000명이었다. 지난해 10월(127만4000명)과 비교하면 29만7000명(23.3%) 급증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10월 기준으로는 가장 많았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고용주는 일주일에 15시간 미만으로 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이나 주휴수당을 주지 않아도 된다. 추 의원은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등으로 고용주의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면서 (주휴수당이 없는) 주당 15시간 미만 아르바이트가 폭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10월 기준 역대 최대로 늘어난 36시간 미만 취업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0월 기준 역대 최대로 늘어난 36시간 미만 취업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일주일에 일하는 시간이 36시간이 안 되는 단기 취업자 수는 지난달 1084만 명이었다. 지난해 10월(562만6000명)과 비교하면 92.7% 증가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2년 이후 10월 기준으로는 가장 많았다.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는 지난달 1652만6000명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44만 명(21.2%) 감소했다. 고용통계에선 일주일에 1시간만 일하는 사람도 취업자로 분류한다. 추 의원은 “초단시간 또는 단기 일자리는 ‘질 좋은 일자리’와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본업과 별도로 다른 일을 하는 부업자는 지난달 58만8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4만 명(7.3%) 증가했다.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직장을 다니면서 부업을 하는 인원(임금근로자 중 부업자)은 37만3000명으로 역대 최다였다. 자영업자 중에선 16만5000명이 다른 일자리를 부업으로 병행하고 있었다. 자영업자 중 부업자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 1만7000명(11.5%) 늘었다. 2004년 이후 가장 많았다.

강 교수는 “장사가 어려운 자영업자, 근로시간이나 임금이 줄어든 근로자가 대리운전 같은 ‘부업 전선’에 많이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식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 배달기사를 대규모로 모집하면서 부업을 찾기 쉬워진 점도 부업자 수 증가에 영향을 줬다.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는 지난달 270만5000명이었다. 지난해 10월(240만5000명)보다 30만 명(12.5%) 늘었다. 복지 분야는 세금을 투입해서 만든 일자리가 많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달 432만4000명으로 지난해 10월(433만6000명)보다 1만2000명(0.3%) 줄었다. 2013년 통계청이 산업 분류를 개편한 이후 10월 기준으로는 가장 적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자동차 부문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게 제조업 취업자 감소에 영향을 줬다. 연령대별로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를 지난해 10월과 비교했다. 30대(-7만7000명)와 40대(-2만5000명), 50대(-2만2000명)에선 나란히 감소세를 보였다.

일하고, 알바도 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일하고, 알바도 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대면 서비스가 많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은 최악의 상황에선 벗어난 모습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달 도·소매업 종사자는 333만1000명, 숙박·음식업 종사자는 209만6000명이었다.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도·소매업에선 24만2000명, 숙박·음식업에선 17만9000명 감소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기술이 대면 근로를 대체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경기 회복기에도 이 추세가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정보기술(IT) 기기나 무인장비 등이 사람을 대체하는 형태의 산업구조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달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2만6000명 줄었다. 35개월째 감소세다. 반대로 ‘나 홀로 사장님’에 해당하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5000명 늘었다. 33개월째 증가세다. 청와대는 2018년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도 고용의 질이 좋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늘어난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후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감소세는 3년 가까이 지속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