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간 무역액 이르면 내일 1조달러 돌파 전망…최단기 기록 경신

송고 2021년10월25일 13시36분

세 줄 요약

우리나라 연간 무역액이 이르면 26일 1조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되면 무역액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최단기에 연간 무역액이 1조달러를 넘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국회에서 한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우리나라 무역 동향과 관련, "수출은 올해 매달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여 무역 1조달러를 이달 안으로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역대 최고 실적"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권혜진
권혜진기자

20일 기준 누적 무역액 9천808억달러…수출 증가가 기록 견인

문 대통령 "무역 1조달러 이달 안 달성…역대 최고 실적"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우리나라 연간 무역액이 이르면 26일 1조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되면 무역액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최단기에 연간 무역액이 1조달러를 넘는 것이다.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 하는 문재인 대통령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 하는 문재인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1.10.25 [국회사진기자단] jeong@yna.co.kr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국회에서 한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우리나라 무역 동향과 관련, "수출은 올해 매달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여 무역 1조달러를 이달 안으로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역대 최고 실적"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누적 무역액은 9천808억달러다.

구체적으로 수출액은 5천18억달러, 수입액은 4천790억달러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지난 1~20일 일평균 무역액이 35억달러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르면 하루 뒤인 26일 1조달러 돌파가 예상된다.

역대 최단기 연간 무역액 1조달러 돌파를 앞둔 셈이다.

이는 기존 기록보다 보름 이상 빠른 것이다. 종전 역대 최단기 1조 달성 기록 시점은 2018년 11월 16일이었다.

우리나라의 연간 무역액은 2011년 1조달러를 돌파한 뒤 4년 연속 이 기록을 이어갔다.

그러나 2015년과 2016년에 1조달러 아래로 떨어졌다가 2017~2019년 3년간은 회복됐지만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소비 위축 여파로 다시 1조달러 밑으로 내려갔다.

수출 증가(CG)
수출 증가(CG)

[연합뉴스TV 제공]

연간 무역액 1조달러 최단기 달성 기록은 수출 증가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는 상반기 수출액 역대 1위 기록을 세웠고 하반기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추석 연휴 조업일수 감소에도 역대 최대 월수출액(558억3천만달러)을 달성했다.

이로써 월수출액은 지난해 11월부터 11개월 연속 증가하는 동시에 7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일평균 수출액도 26억6천만달러에 이르며 65년 무역 역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국제 교역이 확대된 것이 주요 배경 중 하나다.

특히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등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이 글로벌 수요 증대 속에 고른 수출 증가세를 나타냈다.

여기에 중소·중견기업의 약진도 두드러진다.

중소·중견기업 수출 비중이 높은 농수산식품, 화장품, 플라스틱, 생활용품 등 유망 소비재 품목의 1~9월 수출액은 역대 1~2위를 기록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또한 지난 1~8월 중소기업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9% 많은 756억5천만달러로, 역대 8월 누계 기록 중 최대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연간 수출액은 물론 연간 무역액 최고 실적을 달성할 가능성도 있다.

기존의 역대 최고 무역액은 2018년의 1조1천401억달러다. 연간 최대 수출액도 같은 해의 6천49억달러다.

국내외 주요 기관들의 전망도 긍정적이다. 산업연구원, 무역협회, 현대경제연구원,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수출액을 6천억달러 이상, 무역액은 1조 달러 이상으로 전망했다.

lucid@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D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