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직원을 두고 일하는 자영업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40~50대 '사장님'이 감소분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7월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127만4천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7월(152만명)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송고 2021년08월15일 06시05분
지난달 직원을 두고 일하는 자영업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40~50대 '사장님'이 감소분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7월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127만4천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7월(152만명)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지난달 직원을 두고 일하는 자영업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특히 40~50대 '사장님'이 감소분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7월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127만4천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7월(152만명)보다 24만6천명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월 기준으로 1990년(119만5천명) 이후 31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전체 취업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4.6%로 7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연령별로 보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가운데 40대가 11만3천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50대가 8만3천명 줄어 뒤를 이었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40~50대에서만 19만6천명 사라진 것이다.
이외 30대가 3만2천명, 60세 이상이 3만4천명 각각 줄었다. 20대는 1만5천명 늘었다.
고용원을 두지 않고 혼자 일하는 자영업자의 경우 2019년 7월보다 13만5천명 증가했다.
다만 40~50대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중에서도 6만9천명 줄었다.
자녀 양육 등으로 한창 지출이 많은 4050 자영업자들에게 충격이 집중된 것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5만1천명 감소해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코로나19로 경기가 악화하면서 공장 문을 닫거나 직원을 내보내고 혼자 일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도소매업이 4만7천명 감소했는데, 동네 슈퍼부터 안경점, 옷가게와 같은 전문소매점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외 사회적 거리두기로 직격타를 맞은 숙박·음식점업에서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3만6천명 줄었고, 건설업(-3만2천명), 부동산업(-1만8천명) 등에서도 감소했다.
2019년보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 수가 늘어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천명)뿐이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한 이후인 지난해 7월과 비교해도 7만1천명 줄었다.
이로써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018년 12월부터 32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타격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면 구매보다 비대면 구매를 선호하는 산업 구조 변화도 영향을 미치면서 도소매업,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 연령별 자영업자 현황(단위:천명)
합계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합계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
202107 | 합계 | 5564 | 1274 | 4290 | 201907 | 합계 | 5676 | 1520 | 4155 | |
20~24세 | 36 | 8 | 28 | 20~24세 | 33 | 4 | 29 | |||
25~29세 | 157 | 43 | 114 | 25~29세 | 138 | 31 | 107 | |||
30~34세 | 263 | 70 | 193 | 30~34세 | 253 | 91 | 161 | |||
35~39세 | 426 | 136 | 290 | 35~39세 | 457 | 147 | 310 | |||
40~44세 | 509 | 157 | 353 | 40~44세 | 530 | 193 | 337 | |||
45~49세 | 710 | 199 | 512 | 45~49세 | 812 | 276 | 536 | |||
50~54세 | 778 | 212 | 566 | 50~54세 | 818 | 269 | 549 | |||
55~59세 | 757 | 203 | 554 | 55~59세 | 860 | 229 | 631 | |||
60~64세 | 775 | 138 | 638 | 60~64세 | 749 | 160 | 589 | |||
65세이상 | 1152 | 109 | 1043 | 65세이상 | 1025 | 120 | 905 |
◇ 산업별 자영업자 현황(단위: 천명)
합계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합계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
202107 | 합계 | 5564 | 1274 | 4290 | 201907 | 합계 | 5676 | 1520 | 4155 |
농업, 임업 및 어업 | 994 | 49 | 945 | 농업, 임업 및 어업 | 944 | 57 | 887 | ||
제조업 | 356 | 143 | 213 | 제조업 | 396 | 194 | 203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1 |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0 | 0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12 | 3 | 9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6 | 4 | 2 | ||
건설업 | 372 | 96 | 275 | 건설업 | 388 | 128 | 260 | ||
도매 및 소매업 | 1068 | 298 | 770 | 도매 및 소매업 | 1136 | 345 | 791 | ||
운수 및 창고업 | 681 | 18 | 663 | 운수 및 창고업 | 601 | 19 | 582 | ||
숙박 및 음식점업 | 668 | 310 | 358 | 숙박 및 음식점업 | 679 | 346 | 334 | ||
정보통신업 | 53 | 14 | 39 | 정보통신업 | 64 | 19 | 45 | ||
금융 및 보험업 | 22 | 5 | 17 | 금융 및 보험업 | 35 | 9 | 27 | ||
부동산업 | 137 | 20 | 116 | 부동산업 | 152 | 39 | 114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156 | 62 | 94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154 | 75 | 79 | ||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91 | 31 | 60 |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84 | 40 | 45 | ||
교육 서비스업 | 274 | 60 | 214 | 교육 서비스업 | 332 | 74 | 258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84 | 79 | 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83 | 72 | 1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139 | 21 | 118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159 | 34 | 125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457 | 66 | 392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456 | 66 | 389 |
(※ 0은 표본조사에 포착되지 않는 경우)
(자료=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mskwa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1년08월15일 06시0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