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304호) - 서울시민의 가족 형태 변화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04호) - 서울시민의 가족 형태 변화

2025-09-23 14:36 158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04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서울시민의 가족 형태 변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d4a56048c6bf1d73a4f50229ef3250ba_1758605683_7029.png
[서울시민의 가족 형태 변화]
서울 1인 가구, 5집 중 2집(40%)!

최근 서울시는 ‘서울 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서울 가족의 변화상을 가구 중심으로 일부 살펴본다.
먼저 서울 1인 가구는 2015년 111만 5,744가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4년 166만 813가구로 늘었다. 서울 전체 일반가구의 40% 수준으로, 서울시 1인 가구 비율이 전국 1인 가구(36%)보다 높았다.
d4a56048c6bf1d73a4f50229ef3250ba_1758605769_5838.png


서울 집, 10가구 중 3가구는 노인(65세 이상) 거주!
서울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가구는 2024년 약 126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내 10집 중 3집꼴(30%)로 노인이 사는 셈이다.
d4a56048c6bf1d73a4f50229ef3250ba_1758605775_5925.png


친구∙직장동료 등 가족 아닌 ‘비친족 가구’, 지난 8년 새 2배 증가!
2024년 현재 서울의 비친족가구(사실혼, 친구/동료 동거 등)*는 12만 1,478가구였으며, 이는 8년 전인 2016년 대비 2배 증가한 수치다.
한편, 비친족가구는 주로 20~30대 젊은 층으로, 전체 10명 중 6명(59%)에 달했다.
d4a56048c6bf1d73a4f50229ef3250ba_1758605782_9691.png

 

, , ,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04호) - 동반 자살∙살해 후 자살 실태 2025-09-23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