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302호) - 성별 임금 격차: OECD국 비교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02호) - 성별 임금 격차: OECD국 비교

2025-09-09 14:36 26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02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성별 임금 격차: OECD국 비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6019_0492.png
[성별 임금 격차: OECD국 비교]
한국, OECD 회원국 중 성별 임금 격차 가장 커!

• 우리나라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최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성인지 통계’ 내용을 바탕으로 OECD국과 비교해 살펴본다.
• 2023년 기준 한국의 평균 성별 임금 격차는 29%로 OECD 평균(11%)의 약 3배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29% 적은 임금을 받는다는 의미다.
• OECD 30개국 중 콜롬비아가 2%로 격차가 가장 작았고, 미국 16%, 일본 22% 수준이었다. 한국은 조사 대상국 중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국가로 나타났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6147_3896.png


한국 여성, 저임금 근로 비중 OECD 평균보다 높아!
• 이번에는 한국과 OECD 회원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율을 비교해 본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25%로 남성(11%)의 2배 이상이었다. OECD 여성 평균(17%)보다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 OECD 회원국의 경우 여성 17%, 남성 12%로 격차가 5%p에 불과하지만, 한국은 14%p 차이를 보여 성별 간 저임금 근로자 비율 격차가 OECD 평균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8867c92817160657a80bd4c003d9b749_1757396153_9099.png

 

, ,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02호) -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2025-09-09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