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298호) - 2024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298호) - 2024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2025-08-12 14:21 64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98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2024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294_1051.png
[2024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한국인 중위 연령, 30년 사이 29세→46세로 크게 증가!

•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인구, 가구, 주택의 규모와 관련된 몇 가지 지표를 살펴본다.
• 먼저 ‘중위 연령’이란 모든 사람을 나이 순으로 세웠을 때 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나이를 의미하는데, 2024년 기준 한국인의 중위 연령은 46.2세였다. 약 10년 전(2015년 41.4세)보다 5세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1세대(30년) 전과 비교하면 1995년 29.3세에서 2024년 46.2세로 무려 17세나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808_8531.png


농어촌 지역(면) 중위 연령, 57세!
• 중위 연령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면 > 읍 > 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동 지역’ 45.1세, ‘읍 지역’ 46.9세, ‘면 지역’ 57.2세로 동과 면 지역의 중위 연령은 12세나 차이를 보였다.
• 또한, 동, 읍, 면 중위연령은 2015년 조사 이래로 꾸준히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818_5906.png


우리나라 1인 가구, 2024년 기준 전체 가구 중 36%!
• 2024년 기준 1인 가구는 804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36%였다. 1인 가구의 비율은 2000년 16%, 2010년 24%, 2024년 36%로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다.
• 우리나라 평균 가구원 수는 2.2명(2024년)으로, 10년 전 대비 약 0.3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826_5998.png


65세 이상 고령자 거주 가구, 3가구 중 1가구꼴!
•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2024년 기준 일반가구의 32%로 전체 3가구 중 1가구꼴로 고령자와 함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고령자 1인 가구는 10%였다.
•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18년 27%에서 2022년 30%를 지나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835_1044.png


외국인 인구 265만 명, 우리나라 총인구의 5.2% 수준!
•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 인구 규모는 2020년 204만 명으로 총 인구의 3.9%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4년 265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2%에 해당하는 수치다.
• 한편, 국내 유입되는 외국인이 늘면서 다문화 가구도 증가해, 2024년 43.9만 가구를 기록했다. 2018년(33.5만 가구) 대비 31% 늘어난 셈이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980_3723.png


전국의 빈집 비율, 8%!
• 전국의 미거주 주택(빈집)은 2024년 11월 기준 159만 9천 호로, 전체 주택 중 빈집 비율은 8%를 차지했다.
• 시도별로 보면 ‘전남’이 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서울’이 3%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20d8fd4b06d49013d4cdb0dffd4fd0a_1754975988_437.png

 

, , , , , ,

다음글 일반사회통계(297호) - 전 세계 외로움 실태 2025-07-29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