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284호) -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현황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284호) -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현황

2025-04-22 15:02 55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84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현황>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1193ac9ac4586261f1eb590010f5f1a0_1745301580_1422.png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현황]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대부분(79%)은 ‘20대 이하’!

• 최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를 통해 우리 사회 디지털성범죄 피해 현황을 살펴본다.
• 2024년 기준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수는 1만 305명으로 전년 8,983명 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자 분포를 보면 여성(72%)이 남성(28%)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20대(51%)와 10대 이하(28%)가 전체 피해자의 79%를 차지해 소셜미디어, 메신저 등을 활발히 이용하는 저연령대에 피해가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193ac9ac4586261f1eb590010f5f1a0_1745301642_2978.png


디지털성범죄 피해, ‘유포불안/불법촬영’이 가장 커!
•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유포불안’ 26%와 ‘불법 촬영’ 25%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유포’ 17%, ‘유포 협박’ 13% 등의 순이었다. 디지털성범죄은 물리적 성범죄와 달리 피해 발생 이전에도 심각한 심리적 불안을 초래하는 특징을 보였다.
• 한편 피해를 인지한 경로는 ‘직접 인지’한 경우(34%)보다 ‘타인을 통해 인지한 경우’(50%)가 더 많아, 피해 사실조차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1193ac9ac4586261f1eb590010f5f1a0_1745301649_5179.png

 

, , ,

다음글 일반사회통계(284호) - 한국인의 계층 이동 인식 2025-04-22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