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157호) - 반지하 가구 실태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157호) - 반지하 가구 실태

2022-08-24 16:15 834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157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반지하 가구 실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과 링크로 확인하세요. 

45d8841533e539d51dd8cd1fdb173beb_1661325239_6632.png
◎ (반)지하 가구, 2020년 기준 전국 32만 7천 가구! 

‣ 최근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반지하 주민’들의 사연이 방송에 나오면서 반지하 가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 지하 거주 가구 실태’를 살펴보았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의 (반)지하 가구는 32만 7천 가구로, 이는 전체 가구의 1.6%에 해당되는 비율이다.
‣ 우리나라 (반)지하 가구 수는 2005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2005년 58만 7천 가구 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5d8841533e539d51dd8cd1fdb173beb_1661325291_3261.png
 
◎ (반)지하 가구 대부분(96%),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돼!
‣ 전체 (반)지하 가구 ‘32만 7천 가구’ 가운데 수도권 거주가 96%(31만 4천 가구)로 압도적이었고, 그 중 서울 거주 가구 비율이 62%로 가장 높다.
‣ 국토연구원의 ‘영화 기생충이 소환한 지하 거주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2020.04)에 따르면 이렇게 지하(반지하) 주택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이유는 ‘높은 주거비 때문’으로 분석했다.
‣ 한편 전국 시·군·구 중 (반)지하 거주 가구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성남시’와 ‘서울 관악구’이다.
45d8841533e539d51dd8cd1fdb173beb_1661325303_9661.png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158호) - 한국인의 중국 인식 2022-08-30 다음글 일반사회통계(156호) - 동물실험과 개 식용 관련 인식 2022-08-16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