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호-

넘버즈
넘버즈 리포트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281호-<한국 기독교 140주년 특집>

2025-04-01 15:17 59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생산자 및 소유자) 역시 밝혀야 합니다.
4)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동영상, 서적 등 모든 자료)

1. 주요용 : [한국 기독교 140주년 특집]
-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기여한 것, '해방 전은 항일민족운동, 해방 후는 민주화운동'!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아펜젤러 부부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이 땅에 들어와 기독교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140년이 흘러 2025년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와 관련 한국교회 주요 기관, 교회들이 140주년 기념 세미나,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 140주년을 맞아 한국교회는 지난 역사 속에서 한국사회에 어떤 기여를 해왔는지 되짚어보고, 앞으로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목회데이터연구소는 ‘한국교회의 한국사회 기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번 조사는 작년 10월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의 의뢰로 진행하였는데, 여기서는 한국교회의 사회적 기여도를 해방 전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향후 교회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서도 함께 다루고자 한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 보도

    1) 영유아 사교육 현황2024 한국의 세계 선교 현황

    2) 한국의 사회지표 2024 (사회갈등, 사회적 고립감)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6851_0121.png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6945_5713.png
1. [한국 기독교, 과거와 현재 평가]
기독교의 한국사회 기여도, 해방 전이 해방 후보다 높아!

•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미친 영향력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해방 전’ 영향력 평가는 78점으로, ‘해방 후’ 71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해방 전후 모두 기자 직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43_6633.png


해방 전 기독교, ‘항일민족운동’(85%)으로 가장 큰 사회 기여!
• 해방 전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3.1운동 등 항일민족운동’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근대적 서양병원 시작’ 82%, ‘근대 교육 시작’ 79%, ‘대학설립’ 77% 등의 순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49_9627.png


해방 후엔 ‘민주화운동’(57%)과 ‘아동복지’(55%)!
• 해방 후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내용으로는 ‘민주화운동’이 5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아원 설립 등 아동복지’ 55%, ‘전후 구호사업’ 51%, ‘소외 계층을 위한 의료구호활동 전개’가 5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58_0812.png


해방 전 교회 성장의 핵심 활동, ‘교육 선교’(83%)가 주도!
• 한국 기독교의 성장을 가능하게 해준 ‘해방 전’ 교회 내∙외부 주요 활동에 관해 물은 결과, ‘교육기관 설립을 통한 교육기회 제공과 기독교 인재 양성’이 83%로 가장 높았다. ‘교육 선교’가 해방 전 한국교회 부흥과 전도에는 주효했던 것이다.
• 그다음으로 ‘의료시설 설립과 과학적 의료 도입’ 68%, ‘한글 성경 및 기독교 서적 번역과 문맹 퇴치로 복음 전파’ 59% 등이 뒤를 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66_2623.png


해방 후 교회 부흥 이끈 핵심 활동, ‘성경공부∙새벽기도’!
• ‘해방 후’ 한국 기독교의 성장을 이끈 주요 활동으로는 ‘제자훈련과 성경공부를 통한 신앙 강화’와 ‘새벽기도 등 새로운 목회 문화’가 각각 51%, 4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구역예배와 셀 목회를 통한 목회 조직화’ 42%, ‘학원 복음화 운동 및 성경공부 활성화’ 41%, ‘대형집회를 통한 민족복음화 운동 전개’ 40% 등의 순이었다.
• ‘해방 전’의 기독교가 교회 외적의 사회 인프라 구축과 복음화의 토대를 만드는 데 치중했다면 ‘해방 후’에는 교회 내부 조직을 강화하고, 제자훈련/성경공부/새벽기도 등 본격적인 신앙 강화를 통해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74_897.png


2. [한국교회의 과제]
사회 발전 기여 위해 강화해야 할 교회 활동, ‘도덕성 회복 운동’!

•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어떤 분야 활동을 강화해야 할까? 조사 결과, ‘도덕성 회복 운동’(59%)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저출생 대책 개발’ 50%, ‘기후위기 대응 및 생태 환경 보전 운동’ 48%, ‘정신 건강 지원’ 44% 등의 순이었다. ‘도덕성 회복 운동’을 제외하고는 현재 한국사회 주요 이슈로 부각되는 것들이다.
• 다만 연령별로는 교회가 강화해야 할 활동에 대한 의견이 조금씩 달랐다. ‘도덕성 회복 운동’에 대해서는 50대가, ‘저출생 대책 개발’과 ‘기후위기 대응’에는 60대, ‘정신건강 지원’, ‘지역사회 활동 참여하는 목회’, ‘어린이 및 청소년 돌봄’에 대해서는 40대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87_9419.png


한국교회의 우선 과제, ‘목회자의 도덕성 강화’, ‘다음세대 사역 활성화’!
• 이번에는 향후 한국교회가 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물었다. 그 결과, ‘목회자의 도덕성 강화’가 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음세대 계승을 위한 사역 활성화’ 56%, ‘지역사회 돌봄 활동 강화와 저출생 극복 운동 전개’ 46% 등의 순이었다.
• 한편 ‘권위적인 교회 문화 개선’을 우선순위로 꼽은 비율은 40대 이하 저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주목된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99_0881.png


향후 한국교회 성장의 열쇠, ‘본질∙도덕성 회복’!
• 향후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해 강화해야 할 점을 물은 결과, ‘기독교의 본질회복’이 1순위로 나타났다. 다만, 여기에서도 ‘한국사회 발전을 위해 교회가 강화해야 할 활동’과 ‘향후 한국교회가 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도덕성 회복’이 2순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주목된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07_2598.png


현재 교회 개척 시, ‘자립 가능성 있다’ 53% vs ‘없다’ 46%로 전망 엇갈려!
• 지금 교회 개척 시 자립교회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가능성 있음’ 53%, ‘가능성이 없음’ 46%로 응답해 긍∙부정 의견이 갈렸다.
•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환경에서 현재 개척 시 ‘자립 가능성 있다’는 응답이 53%나 된다는 것은 오피니언 리더층이 교회 개척에 대해 희망적 의견을 어느정도 보여주고 있어 고무적이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17_0959.png


3. [한국교회의 방향성: 미래를 위한 전략과 비전]
가나안성도의 교회 복귀, ‘교회 지도자의 모범’이 핵심 key!

• 가나안성도를 교회로 다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조사 결과, ‘교회 지도자들이 신앙과 삶에서 모범을 보이는 것’이 6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성도 간의 관계를 더 진정성 있고 친밀하게 하는 것’ 37%, ‘탈권위적이고 수평적 관계 조성’ 28%, ‘개인별 영적 필요를 채워주는 것’ 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교회 공동체는 무엇보다 교회 리더십의 솔선수범과 모범적 태도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25_7691.png


한국교회 미래에 대한 제언, ‘본질회복’, ‘복음’, ‘다음세대’ 강조!
• 한국교회의 미래에 대한 의견(자유응답)을 모아 키워드별 분류하여 워드 클라우드 형태로 분석하였다. ‘본질회복’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복음’, ‘다음세대’, ‘초대교회’, ‘성경’, ‘도덕성 회복’, ‘목회자의 각성과 변화’ 등에 대한 의견 순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39_3541.png

 

, , , , ,

다음글 280호-<한국인이 죽음을 대하는 자세> 2025-03-25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