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소멸위험지수는 젊은 여성인구의 수도권 유출이 지방 소멸을 가져올 수 있다는 마스다 히로야(2014)의 저서 「지방소멸」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다.
감사원이 2021년에 발표한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에 따르면 2047년부터 모든 시군구가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당시 합계출산율 0.98명을 기준으로 한 전망으로 최근의 합계출산율(0.72명, 2023)을 반영하면 더 심각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번 넘버즈는 지역 인구 감소와 이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인구 소멸 환경 가운데 지역별 한국교회 교세 전망까지 살펴본다. 인구 구조의 지역별 변화가 한국교회의 미래에 미칠 영향을 고민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 보도
1) 한국인의 종교 인식
2) 한국 어린이의 미래 희망 직업
1. [인구 변화]
50년 후 노인이 인구의 절반 차지!
• 통계청은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 등에 대응하고 시의성 있는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해 2~3년 주기로 장래인구추계를 발표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정점(5,184만 명)을 찍은 이후 하락세에 접어들었는데, 앞으로 약 50년 후인 2072년 인구는 3,622만 명으로 올해 2025년 대비 3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2025년 20%에서 2050년은 40%, 약 50년 후인 2072년에는 48%까지 이를 전망이다. 2025년에서 2050년까지 기준으로 보면 총인구는 9% 감소하지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오히려 80%(1,051만 명→1,891만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지방 소멸 현황]
부산, 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 위험 단계 진입함!
•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누어 산출하는데, 0.5 미만일 경우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소멸 위험지역은 2016년 처음으로 측정한 이래 매년 증가 추세이다.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17개 광역시도 중 소멸 위험지역은 8개로 나타났으며, ‘전남’, ‘경북’, ‘강원’, ‘전북’이 0.4 미만을 기록했고, 부산이 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2024년 기준, 전라/경북 지역 10곳 중 9곳 소멸 위험지역!
• 소멸 위험지역은 시군구별 기준으로 전국 228개 중 130곳으로 전국 57%이 이르렀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북이 전체 14개 시군 중 1곳을 제외하고 모두 소멸 위험지역으로 확인되어 93%로 가장 높았으며, 전남과 경북은 91%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약 20년 후, 전국 모든 지역이 소멸 위험지역 진입!
• 감사원은 인구문제에 대한 장기 대응 차원에서 현 수준의 초저출산이 지속될 경우 미래 지방의 소멸 위험이 어느 정도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고용정보원과 함께 시군구별 향후 소멸 위험을 예측한 감사보고서를 2021년에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47년부터 우리나라 모든 지역이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큰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고령층 중심 사회가 되어 공동체의 인구 기반이 매우 취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소멸 위험 증가 이유, 수도권 인구집중 지속 증가 추세!
• 이토록 지방의 소멸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일자리, 의료, 교육 등 정주여건이 좋은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 이후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 그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
3. [지방 소멸 국민 인식]
우리 국민 대다수, 지방 소멸 위기 체감하고 있어!
•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우리 국민의 지방 소멸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를 살펴본다. 지방 소멸 위기를 체감하는지에 대해 국민 대다수(88%)가 ‘체감한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지방 인구의 고령화 현상’(28%)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 양극화’(24%)가 가장 높았다.
우리 국민 10명 중 4명, ‘지방 소멸 위기 해결할 수 있을 것’!
• 이러한 지방 소멸 위기에 대해 10명 중 6명(60%)은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해 비관적인 입장이 더 컸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의견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비관적으로 보는 경향을 나타냈다.
• 그러나 40%의 국민은 지방 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대책, 경제/교육여건 개선보다 삶의 질 개선!
• 국민이 바라보는 지방 소멸 대응의 정책적 대안은 무엇일까? 한국행정연구원은 ‘인구 감소 시대의 국민이 바라보는 지방 소멸과 대응 정책’ 이슈를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기반한 정책을 제시했다. 국민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지방 소멸 대응 정책으로는 ‘주택 및 교통 등의 정주 여건 개선’과 ‘삶의 질 높이는 사회적 서비스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이는 지역의 인구 유입과 유출 방지를 위한 요인으로 전통적인 관점인 경제 및 교육적 여건 개선보다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문화적 인프라 개선에 대한 의견이 더 높았다.
4. [한국 기독교 미래 전망]
이대로 가면 25년 후 경상도 지역 기독교인 수 절반 가까이 줄어!
• 이러한 지방 소멸 위기 속에 한국교회 지방의 교세는 어떻게 변화할까? 목회데이터연구소는 한국교회총연합과 공동으로 2050년까지 한국기독교 인구수를 예측하는 ‘한국기독교 교세 추계’ 분석을 최근 발표하였다.(넘버즈255호) 현재 한국교회가 놓인 조건과 상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에서 2050년까지 기독교인 수는 3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특히 경상도 지역의 감소율(47~48%)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농어촌 기독교인 수, 앞으로 10년 정도는 감소하지 않아!
• 대도시와 농어촌의 기독교인 수 전망을 살펴본다. 대도시 기독교인 수는 2025년 362만 명에서 2050년 225만 명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5년간 3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러나 농어촌 기독교인 수는 대도시와는 달리 2025년 56만 명에서 10년 후인 2035년 59만 명으로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 2050년 48만 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어촌 교회 목회자 절반, ‘농어촌 교회에 희망 있다’!
• 농어촌 교회 목회자는 이러한 인구 감소 및 고령화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농어촌 교회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52%가 ‘희망이 있다’라고 응답해 절반 정도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희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목회자 연령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앞에서 당분간 농어촌 기독교인의 증가 추세가 전망되는데 이는 농어촌 교회 목회자들의 희망적 인식과 맥을 같이한다.
• 한편, ‘희망 없다’라고 응답한 목회자의 64%가 농어촌 교회의 ‘통폐합이 필요하다’에 동의해 어려움에 처해있는 농어촌 교회의 생존전략 중 하나로 ‘통폐합’을 생각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