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2. 최근 조사통계 언론 보도
1) 우리 사회 공정성 인식
2) 한국 국회의원 연봉 실태(OECD비교)
3) 2023 합계출산율
1. [스트레스와 감정]
대부분의 청소년, 일상 속 스트레스 받고 있어!
• 청소년들은 일상 속에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까? 스트레스 정도를 물은 결과, 청소년의 대부분(81%)이 스트레스 가운데 놓여있었다. 이는 4년 전 2020년 조사 대비 8%p 높아진 수치로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거의 매일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생기지 않는다’ 40%!
• 청소년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감정을 몇 가지 진술문에 대한 동의율을 통해 살펴보았다. ‘거의 매일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생기지 않는다’에 4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청소년 10명 중 4명은 거의 매일 무기력함을 느끼는 셈이다. 그 외에 33%의 청소년은 ‘자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었고’, ‘거의 하루 종일 슬프거나 짜증 난다’는 감정적 동요가 심한 경우도 20%였다.
•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면 지난 4년 사이 큰 차이가 없었다.
2. [학교 및 가정생활]
엔데믹 후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 줄고, 학교 만족도 증가!
• 전반적 생활과 관계 만족도를 총 5개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물었다. 먼저 생활 측면에서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77%, ‘전반적인 삶' 만족도는 61%로 코로나 시기인 2020년 조사 대비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상승한 반면 ‘전반적인 삶’ 만족도는 그대로였다.
• 관계적인 측면에서는 2020년 대비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는 줄고, ‘교사’, ‘친구’ 관계 만족도는 10%p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학교생활 비율이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가정에 있는 시간이 줄어든 점이 부모 관계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 44%, ‘수면 부족’이 가장 힘들어!
•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일까? ‘잠이 모자람’이 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열심히 공부하는 데 성적이 나오지 않음’ 34%, ‘친구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음’ 18%, ‘취미 활동을 못 함’ 17% 등의 순이었다.
3. [동성애 인식]
청소년, 동성애 찬성 52%!
• 동성애 인정 여부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물었다. ‘인정해 줘야 한다’ 52%, ‘인정하기 어렵다’ 26%, ‘잘 모르겠다’ 22%로 절반가량이 인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청소년의 동성애 허용 찬성 비율은 대학생(60%)보다 8%p 낮은 수치이다.
동성애 인식, 기독 청소년 ‘반대’, 비기독교 청소년 ‘찬성’!
• 동성애 허용에 대한 인식을 개신교 청소년과 비개신교 청소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개신교 청소년은 동성애 허용 반대(45%)가 찬성(34%)보다 높았고, 비개신교 청소년은 동성애 허용 찬성(55%)이 반대(23%)보다 2배 이상 높았다.
• 성별로 보면 여학생(74%)의 동성애 찬성 비율이 남학생(31%)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청소년, 주변에 동성(양성)애자 친구/지인 있다 26%!
•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성적 취향이 어떠한지와 동성애 친구/지인이 있는지에 관해 물었다. 그 결과, 본인이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라고 응답한 비율이 13%로 전체 청소년 8명 중 1명꼴이었는데, 이는 대학생의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 비율인 11%와 표본 오차 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주변에 동성애 친구나 지인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청소년 4명 중 1명(26%)으로 나타났는데 이것 역시 대학생의 비율(28%)과 비슷했다.
4. [사회 이슈 인식]
청소년 4명 중 3명, ‘우리 사회 세대 간 소통 원활하지 않아’!
• 우리 사회에서 세대 간 소통이 원활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원활하지 않다’가 74%로 청소년 4명 중 3명 정도는 세대 간 소통 평가에 있어 부정적이었는데, 고등학생(78%)이 중학생(70%)보다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인식이 더 높았다.
• 세대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로는 ‘자라온 문화적 배경 차이’가 4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나홀로 문화를 추구하는 개인주의’ 20%, ‘사회적 이슈에 대한 생각 차이’ 17% 등의 순이었다.
건강한 한국 사회 걸림돌, ‘정치/이념 갈등’ 크게 늘어!
• 청소년이 생각하는 건강한 한국 사회를 만드는 데 가장 큰 걸림돌(1+2순위)로는 ‘빈부격차/양극화’와 ‘정치/이념 갈등’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일자리 문제’, ‘성평등 문제’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정치/이념 갈등’ 문제는 2020년 조사 대비 크게(1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종교 현황 및 인식]
청소년 무종교인 비율, 성인보다 더 높아!
• 종교를 가진 우리나라 청소년은 얼마나 될까? 목회데이터연구소가 독자적으로 파악한 종교현황을 살펴보면(넘버즈 224호 참조) 전체 청소년 중 종교가 있는 경우는 27.6%에 불과했고, 나머지 72.4%는 무종교인이라고 응답했다. 청소년의 무종교인 비율이 성인보다 높은 점이 주목된다.
• 개신교인 청소년은 전체 청소년의 13.6%로 성인(16.6%)보다 낮았다.
무종교 청소년, ‘나에게 종교 필요하다’, 8%에 불과!
• 청소년들에게 ‘본인이 종교의 필요성을 느낄 때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종교가 있는 청소년의 40%, 종교가 없는 청소년의 8%가 본인의 종교 필요성에 동의했다. 종교가 없는 청소년 중 종교의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이 10명 중 1명도 안 되는 셈이며, 종교가 있는 청소년의 종교 필요성도 4년간 8%p 하락해 • 청소년 세대도 종교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개신교 청소년의 종교 필요성 인식은 48%로 4년 전 조사 결과 대비(60%) 12%p 크게 하락했다.
청소년의 ‘우리 사회 종교 필요성’ 인식, 성인에 비해 절반 수준!
• 이번에는 사회적인 차원에서 종교의 필요성 여부를 물어본 결과, 청소년의 37%가 종교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었는데, 이는 성인 응답(69%)보다 절반가량 낮은 수치이다.
• 종교 여부별로 보면 종교를 가진 청소년이 63%로 종교 없는 청소년(28%)보다는 2배 이상 높았지만 4년 전 조사 결과 대비(75%) 12%p 떨어졌다.
청소년, 라이프스타일, 동성애, 기독청소년, 비개신교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