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통계(281호) - 한국 기독교 140주년 특집

기독교 통계
국내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기독교 통계(281호) - 한국 기독교 140주년 특집

2025-04-01 15:20 59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81호의 기독교 통계에 관련한 내용만 따라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한국 기독교 140주년 특집>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8365_602.png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6945_5713.png
1. [한국 기독교, 과거와 현재 평가]
기독교의 한국사회 기여도, 해방 전이 해방 후보다 높아!

•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미친 영향력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해방 전’ 영향력 평가는 78점으로, ‘해방 후’ 71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해방 전후 모두 기자 직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43_6633.png


해방 전 기독교, ‘항일민족운동’(85%)으로 가장 큰 사회 기여!
• 해방 전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3.1운동 등 항일민족운동’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근대적 서양병원 시작’ 82%, ‘근대 교육 시작’ 79%, ‘대학설립’ 77% 등의 순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49_9627.png


해방 후엔 ‘민주화운동’(57%)과 ‘아동복지’(55%)!
• 해방 후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내용으로는 ‘민주화운동’이 5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아원 설립 등 아동복지’ 55%, ‘전후 구호사업’ 51%, ‘소외 계층을 위한 의료구호활동 전개’가 5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58_0812.png


해방 전 교회 성장의 핵심 활동, ‘교육 선교’(83%)가 주도!
• 한국 기독교의 성장을 가능하게 해준 ‘해방 전’ 교회 내∙외부 주요 활동에 관해 물은 결과, ‘교육기관 설립을 통한 교육기회 제공과 기독교 인재 양성’이 83%로 가장 높았다. ‘교육 선교’가 해방 전 한국교회 부흥과 전도에는 주효했던 것이다.
• 그다음으로 ‘의료시설 설립과 과학적 의료 도입’ 68%, ‘한글 성경 및 기독교 서적 번역과 문맹 퇴치로 복음 전파’ 59% 등이 뒤를 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66_2623.png


해방 후 교회 부흥 이끈 핵심 활동, ‘성경공부∙새벽기도’!
• ‘해방 후’ 한국 기독교의 성장을 이끈 주요 활동으로는 ‘제자훈련과 성경공부를 통한 신앙 강화’와 ‘새벽기도 등 새로운 목회 문화’가 각각 51%, 4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구역예배와 셀 목회를 통한 목회 조직화’ 42%, ‘학원 복음화 운동 및 성경공부 활성화’ 41%, ‘대형집회를 통한 민족복음화 운동 전개’ 40% 등의 순이었다.
• ‘해방 전’의 기독교가 교회 외적의 사회 인프라 구축과 복음화의 토대를 만드는 데 치중했다면 ‘해방 후’에는 교회 내부 조직을 강화하고, 제자훈련/성경공부/새벽기도 등 본격적인 신앙 강화를 통해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74_897.png


2. [한국교회의 과제]
사회 발전 기여 위해 강화해야 할 교회 활동, ‘도덕성 회복 운동’!

•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어떤 분야 활동을 강화해야 할까? 조사 결과, ‘도덕성 회복 운동’(59%)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저출생 대책 개발’ 50%, ‘기후위기 대응 및 생태 환경 보전 운동’ 48%, ‘정신 건강 지원’ 44% 등의 순이었다. ‘도덕성 회복 운동’을 제외하고는 현재 한국사회 주요 이슈로 부각되는 것들이다.
• 다만 연령별로는 교회가 강화해야 할 활동에 대한 의견이 조금씩 달랐다. ‘도덕성 회복 운동’에 대해서는 50대가, ‘저출생 대책 개발’과 ‘기후위기 대응’에는 60대, ‘정신건강 지원’, ‘지역사회 활동 참여하는 목회’, ‘어린이 및 청소년 돌봄’에 대해서는 40대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87_9419.png


한국교회의 우선 과제, ‘목회자의 도덕성 강화’, ‘다음세대 사역 활성화’!
• 이번에는 향후 한국교회가 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물었다. 그 결과, ‘목회자의 도덕성 강화’가 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음세대 계승을 위한 사역 활성화’ 56%, ‘지역사회 돌봄 활동 강화와 저출생 극복 운동 전개’ 46% 등의 순이었다.
• 한편 ‘권위적인 교회 문화 개선’을 우선순위로 꼽은 비율은 40대 이하 저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주목된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299_0881.png


향후 한국교회 성장의 열쇠, ‘본질∙도덕성 회복’!
• 향후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해 강화해야 할 점을 물은 결과, ‘기독교의 본질회복’이 1순위로 나타났다. 다만, 여기에서도 ‘한국사회 발전을 위해 교회가 강화해야 할 활동’과 ‘향후 한국교회가 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도덕성 회복’이 2순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주목된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07_2598.png


현재 교회 개척 시, ‘자립 가능성 있다’ 53% vs ‘없다’ 46%로 전망 엇갈려!
• 지금 교회 개척 시 자립교회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가능성 있음’ 53%, ‘가능성이 없음’ 46%로 응답해 긍∙부정 의견이 갈렸다.
•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환경에서 현재 개척 시 ‘자립 가능성 있다’는 응답이 53%나 된다는 것은 오피니언 리더층이 교회 개척에 대해 희망적 의견을 어느정도 보여주고 있어 고무적이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17_0959.png


3. [한국교회의 방향성: 미래를 위한 전략과 비전]
가나안성도의 교회 복귀, ‘교회 지도자의 모범’이 핵심 key!

• 가나안성도를 교회로 다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조사 결과, ‘교회 지도자들이 신앙과 삶에서 모범을 보이는 것’이 6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성도 간의 관계를 더 진정성 있고 친밀하게 하는 것’ 37%, ‘탈권위적이고 수평적 관계 조성’ 28%, ‘개인별 영적 필요를 채워주는 것’ 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교회 공동체는 무엇보다 교회 리더십의 솔선수범과 모범적 태도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25_7691.png


한국교회 미래에 대한 제언, ‘본질회복’, ‘복음’, ‘다음세대’ 강조!
• 한국교회의 미래에 대한 의견(자유응답)을 모아 키워드별 분류하여 워드 클라우드 형태로 분석하였다. ‘본질회복’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복음’, ‘다음세대’, ‘초대교회’, ‘성경’, ‘도덕성 회복’, ‘목회자의 각성과 변화’ 등에 대한 의견 순이었다.
96ecda49b9336c84f1995c95ca723e2c_1743487339_3541.png

 

, , , , ,

이전글 기독교 통계(281호) - 2024 한국의 세계 선교 현황 2025-04-01 다음글 기독교 통계(279호) - 한국인의 종교 인식: 기독교인 vs 비기독교인 2025-03-18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