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통계(244호)- 한국교회 전도 실태(목회자 조사)

기독교 통계
국내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기독교 통계(244호)- 한국교회 전도 실태(목회자 조사)

2024-06-18 16:00 28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44호의 기독교 통계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한국교회 전도 실태(목회자 조사)>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955_8343.png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668_239.png
1. [전도의 중요성과 실태]
목회자가 생각하는 교회의 가장 큰 사명, ‘영혼 구원’ 압도적으로 높아!

• 담임목사들이 생각하는 교회의 가장 큰 사명은 무엇일까? ‘영혼 구원’이란 응답이 절반 이상(52%)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하나님 나라 구현’ 24%, ‘예배’ 20% 등의 순이었다.
• 목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1순위)으로는 담임목사 대다수(87%)가 ‘예배’를 꼽았고, 이어 ‘전도(국내) 6%’, ‘지역사회 봉사’ 3%, ‘교육’ 2%, 등의 순이었다. 앞서 교회의 사명으로서 ‘영혼 구원’을 압도적으로 꼽은 것과 비교하면 ‘전도’를 중요하다 꼽은 비율은 이에 크게 못 미친 점이 대비된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788_5686.png


전도에 할당하는 예산, 전체 예산 중 11%!
• 그렇다면 교회 전체 예산 중 전도 관련 예산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 교회 전체 예산 중 전도 예산 비중은 평균 11%였고, 교회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소형교회가 대형교회 대비 보다 전도에 집중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 전체 예산 중 전도 예산이 21%이상인 교회는 10%에 그쳤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797_1739.png


목회자 절반 가까이, 설교 시 월 1회도 전도 언급하지 않아!
• 목회자들은 설교에서 전도에 대한 내용을 얼마나 언급하는지 물은 결과, ‘월 1회 이상’ 언급하는 비율이 55%였고, 다음으로 ‘2~3개월 1회’ 26%, ‘4~6개월 1회’ 14% 등의 순으로, 절반 가까이(45%)는 설교 시 전도를 월 1회도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04_7246.png


전도 활동 만족도, 10년 사이 1/3 수준으로 감소!
• 한국교회에서 전도 활동은 어떤 변화가 있을까?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의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23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신앙의식’ 보고서에 따르면 교회 출석자 대상으로 ‘전도하여 출석시킨 경험’의 10여 년간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12년 26%에서 2023년 15%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 담임목사를 대상으로 한 ‘시무교회의 전도 활동 만족도’ 역시 2012년 57%에서 2023년 19%로 10년 사이 1/3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12_2838.png


[전도 교육/훈련과 실행]
교인 중 전도에 대해 적극 관심자, 24%!

• 전도에 대한 교인들의 관심도를 담임목사들에게 물었더니 ‘매우 관심있다’는 적극적인 응답은 24%로 4명 중 1명꼴로 나타났는데, 이들이 교회의 전도를 주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20_6677.png


목회자 설교 시 전도 언급 빈도 높을수록 교인들의 전도 관심도 높아!
• 교인들이 전도에 ‘매우 관심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목회자의 설교 시 전도 언급 비중이 높을수록 높은 특징을 보였다. ‘월 1회 이상’ 설교 시 전도를 언급하는 경우 ‘매우 관심있다’ 응답률이 30%인데 반해 ‘4개월 1회 이하’는 10%였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29_3952.png


절반 이상 교회에서 전도 교육/훈련 하고 있어!
• 목회자에게 시무 교회에서 전도에 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는지를 물은 결과, ‘하고 있음’이 54%로 ‘하지 않고 있음’(46%)보다는 약간 더 높았다.
• 전도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비율은 교회 규모가 클수록 크게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36_8832.png


전도 교육하지 않은 이유, ‘우선순위에 밀려’!
• 앞서 ‘전도 교육/훈련을 하지 않은 목회자’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그 결과, ‘전도 교육/훈련보다 더 시급한 것들이 많아서’가 26%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 ‘전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몰라서’ 23%, ‘성도들이 전도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 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도 교육/훈련보다 더 시급한 것들이 많아서’는 교인 수 100명 이상 교회에서 42%로 전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 ‘우선 순위에서 밀려서’란 이유는 차치하더라도 전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모르고, 성도들이 전도에 관심이 없다는 이유는 교회의 노력과 관심 혹은 여력이 부족함을 방증하는 것이기에 보다 적극적인 목회자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44_0974.png


교인 중 적극적으로 전도하는 자, 10%!
• 담임목사들에게 교인들이 전도하고 있는지를 물은 결과, 목회자 4명 중 3명(77%) 정도가 교인들이 ‘(매우+약간) 전도 하는 것 같다’고 응답했다. 이중 ‘매우 적극적으로 하는 것 같다’는 10%로 교인 10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했다.
• 교인들이 전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목회자들에게 ‘왜 교인들이 전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도를 해야겠다는 인식이 부족해서(37%)’란 이유를 가장 높게 꼽았고, 다음으로 ‘전도할 용기가 나지 않아서(22%)’, ‘본인 신앙 수준이 전도를 할 정도라 생각하지 않아서(11%)’와 ‘기독교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낮아서(11%)’ 등의 순이었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51_8675.png


29명 이하 소형교회가 상대적으로 전도 참여율 낮아!
• 교인 중 적극적으로 전도 활동을 하는 비율을 교회 규모별로 살펴보면 29명 이하 초소형교회의 전도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 앞에서 소형교회의 전도 예산 비중이 대형교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 교인들의 전도 실행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61_4734.png


3. [전도 그 이후]
목회자의 전도 열정, 전도 성과에 큰 영향 미쳐!

• 이번에는 실제 전도를 통해 교회에 출석한 사람이 몇 명인지 물었다. 2022년 기준으로 평균 6.7명이 출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회 규모가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 전도를 통해 교회 출석한 자 수를 교회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교인들의 전도 관심도’가 높을수록, ‘전도 교육과 새신자 담당부서’가 존재하는 경우일수록 전도로 교회 출석한자 수가 훨씬 많았다.
• 즉 교인과 목회자의 전도 열정이 높을수록 전도 성과가 높은 특징이 나타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71_1195.png


전도에 의해 교회 출석한 자, 10명 중 7명은 수평이동!
• 이들 전도에 의해 교회 출석한 자 중 초신자의 비율은 29%로 10명 중 3명이 ‘신앙 경험이 없는 자’였고, 반대로 71%는 수평이동자였다.
• 수평이동자 비율은 500명 이상 교회가 79%로 중대형 교회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78_7394.png


새신자 담당부서와 교육 여부, 소형교회는 제대로 갖추지 못해!
• 새신자 담당 부서 유무를 물은 결과, ‘새신자 담당 부서가 있는’ 교회는 10곳 중 4곳가량(39%)이었고, 새신자 교육 유무에 대해서는 57%가 ‘있다’고 응답했다.
• 새신자 담당 부서와 교육 여부는 교회 규모별 큰 격차를 보였는데 특히 ‘새신자 담당부서가 있다’는 응답률은 29명 이하 소형교회(8%)가 1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 ‘100~499명’ 84%, ‘500명 이상’은 100%로 규모가 클수록 압도적으로 높았다. ‘새신자 교육’ 역시 교회 규모가 클수록 ‘있음’ 응답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86_1603.png


새신자 정착률 42%, 새신자 중 세례 비율 21%!
• 담임목사들에게 새신자의 교회 정착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물은 결과 새신자 정착률은 42%로 나타났다. 새신자 중 세례까지 받은 사람의 비율은 21%로 새신자 정착률의 절반 정도였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894_4829.png


교회 출석자 중 전도 통해 교회오는 새신자, 연간 5.8%!,
교회 출석자 중 연간 세례자 비율 1.6%!
• 전도를 통해 교회에 출석한 사람은 연간 어느 정도 될까? 이를 분석한 결과 교회 출석자 대비 연간 5.8%가 새로 교회로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앞에서 교회에 새로 들어온 새신자 중 세례를 받는 비율이 21%로 나타났는데, 그 비율이 전체 교인 대비 어느 정도 되는지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전체 교회 출석자 중 연간 세례받은 자 비율은 1.6%로 나타났다.
• 무리가 있지만 세례받은 자를 영혼 구원자로 간주한다면 한국교회에 그만큼 영혼 구원이 잘 일어나지 않는 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903_0091.png


전도 교육/새신자 담당 부서있는 교회에서 새신자 정착률 높아!
• 이번에는 교회 규모, 교인들의 전도 관심도 유무, 전도 교육 유무 등에 따른 새신자 정착률을 살펴보았다. ‘교회 규모가 클수록’ 새신자 정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교인들의 전도 관심도가 높을수록’ 또 ‘전도 교육과 새신자 담당부서가 존재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새신자 정착률이 높게 나타났다.
4abc0977157068e2cd095e4c68919f2b_1718693911_5445.png
 

, , , , , ,

이전글 기독교 통계(245호)- 목회자의 선교적 교회 인식과 실태 2024-06-25 다음글 기독교 통계(242호)- 개신교인의 용서에 대한 인식 2024-06-04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